스레드1 join() 이용해보려다가 실패한 사연 쓰레드는 상태를 가진다. 쓰레드가 가질 수 있는 상태는 다음과 같다. 위 상태들을 쭉 보다가 TIMED_WAITING 와 WAITING 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해졌다. 언제 전이되는지, 어떤 상태에서 전이될 수 있는지를 직접 실험해보았다. 그리고 팀에서 관리하는 서비스에서 적용할 만한 사례를 찾아보았다. 천천히 스텝 바이 스텝으로 나아가기로했다. TIMED_WAITING 과 WAITING 상태인 스레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해보는 것이 시작이었다. 다음 코드에서 TIMED_WAITING 으로 전이될 수 있는 포인트가 있다. Thread.sleep(3000) 이다. sleep() 은 스레드를 잠시 멈추게 한다.실행을 일시 중단했다가 얼마의 시간이 지난 후 다시 재실행한다. 이 과정에서 스레드의 상태는.. 2024. 11.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