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성1 객체가 자율적이면 뭐가 좋을까 객체 지향 패러다임의 핵심은 상속이 아니라 자율적인 객체들끼리의 협력이다. 여기서 자율은 어떻게 나오는 것일까. 캡슐화와 자율성 객체의 자율성은 객체의 외부와 내부를 판가름하는 데에서부터 나온다. 우선 객체A는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외부로부터 지키기위해 (간섭하거나 접근할 수 없도록) 차단해야한다. 객체 외부B는 접근이 가능한 수단을 통해서만 해당 객체A와 협력을 맺을 수 있다. 이 협력을 통해 객체 B는 객체 A 가 무엇을 수행하는지는 알 수 있지만, 어떻게 수행하는지에 대해서는 객체 A의 프라이버시이므로 알 필요가 없다. 우리는 이것을 객체(A)의 캡슐화=정보은닉이라고 부른다. 응답과 요청, 협력 발생 캡슐화를 통해 객체의 자율성을 확보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객체는 자기자신을 주체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2023. 1. 4. 이전 1 다음